2025년, 이더리움 스테이킹 수익률은 여전히 관심의 중심입니다.
특히 “직접 스테이킹”할지, 아니면 “LST(Liquid Staking Token)”을 통해 수익률과 유동성을 동시에 잡을지 고민하는 분들이 많아요.
이 글에서는 이더리움 스테이킹 방식별 수익률과 리스크, 대표 플랫폼들을 비교해서
투자 목적에 따라 어떤 선택이 유리한지 정리해드릴게요.
1. 기본 개념 정리 – ETH 스테이킹과 LST란?
이더리움 스테이킹(직접 스테이킹)
- 본인의 ETH를 검증 노드에 락업해 블록 생성에 기여하고 보상받는 방식
- 최소 32ETH가 필요하거나, 거래소/풀을 통해 참여 가능
- 락업된 자산은 일정 기간 출금 불가 (현재 약 1~2일 대기)
LST(Liquid Staking Token)
- 스테이킹한 ETH의 ‘증서’ 같은 토큰을 받아 유동성 있게 활용하는 방식
- 대표 LST: stETH(Lido), rETH(Rocket Pool), sfrxETH(Frax) 등
- 예치와 동시에 LST를 받고, 이를 다시 디파이에서 활용 가능 (복리 효과 가능)
2. 2025년 기준 주요 플랫폼 수익률 비교
플랫폼 | 스테이킹 방식 | 연 수익률(APR) | 유동성 | 수수료 |
---|---|---|---|---|
직접 스테이킹 | 검증자 노드 운영 or 거래소 위임 | 약 3.5% | 낮음 (락업) | 0~15% (위임 수수료 포함) |
Lido (stETH) | LST | 약 3.6% | 높음 (stETH 보유 중 활용 가능) | 약 10% 커미션 |
Rocket Pool (rETH) | LST | 약 3.2~3.5% | 높음 | 약 15% 커미션 |
Frax (sfrxETH) | LST + 복리 | 약 3.8~4.2% | 중간 (출금 대기 있음) | 약 10% 수수료 + 복리 리스크 |
※ 수익률은 2025년 1분기 기준 실시간 데이터 평균이며, 시장 상황에 따라 변동 가능
3. 무엇이 더 수익성이 높은가?
단기 수익률만 보면 → Frax > Lido > 직접 스테이킹 순입니다.
특히 sfrxETH는 복리 효과가 적용돼 장기 보유 시 더 높은 수익을 기대할 수 있어요.
하지만…
- 직접 스테이킹은 출금 대기 시간이 길고, ETH 자체에만 묶입니다.
- LST는 보유 중에도 디파이에서 활용할 수 있어 추가 수익 루트를 만들 수 있죠. (예: stETH를 담보로 예치 → 이자 수익 or 차익거래 가능)
4. 리스크 비교
항목 | 직접 스테이킹 | LST 스테이킹 |
---|---|---|
출금 유연성 | 낮음 | 높음 (보유한 LST 매도 가능) |
스마트컨트랙트 리스크 | 낮음 | 중간~높음 (Lido, Frax 등 프로토콜 리스크 존재) |
수익 다각화 | 불가능 | 가능 (디파이 연계 수익화) |
복리 효과 | 없음 | 있음 (Frax 등) |
5. 어떤 방식이 나에게 유리할까?
- 장기 보유 & 리스크 최소화 → 직접 스테이킹 or 거래소 위임
- 디파이 활용 & 복리 수익 노림 → LST (특히 sfrxETH)
- 중간 유동성 + 브랜드 안정성 선호 → Lido(stETH), Rocket Pool(rETH)
특히 Frax는 높은 수익률을 제공하지만, 디파이 초보에게는 진입 장벽이 있을 수 있으니 사용 전 인터페이스와 출금 조건을 꼭 확인하세요.
정리하면!
2025년에도 이더리움 스테이킹은 가장 안정적인 수익형 투자 전략 중 하나입니다.
그 중에서도 LST는 스테이킹 수익 + 유동성 + 디파이 활용이라는 3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는 매력적인 방식이에요.
다만, 더 높은 수익률을 쫓을수록 복잡성이나 리스크도 커지기 때문에
투자 목적과 사용 편의성, 리스크 허용 범위를 잘 고려해서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초보자라면 Lido에서 시작해보고, 익숙해지면 Frax나 Rocket Pool로 확장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