넷플릭스(NFLX)는 스트리밍 혁신의 아이콘이자, 팬데믹 이후 급격히 성장한 대표 콘텐츠 기업이죠. 그런데 만약, 2020년부터 넷플릭스 콘텐츠를 ‘구독’하는 대신, 같은 금액으로 ‘투자’했다면 지금쯤 어떤 결과가 나왔을까요?
이번 글에서는 실제 주가 데이터를 바탕으로 2020년 4월부터 2025년 4월까지 매월 10만 원씩 넷플릭스 주식을 매수했을 때의 수익률을 시뮬레이션해봤습니다.
시뮬레이션 조건 요약
- 투자 기간: 2020년 4월 ~ 2025년 4월 (총 61개월)
- 월 투자 금액: 100,000원
- 평균 환율: 1,300원/USD
- 매월 첫 거래일의 종가 기준 매수 (수수료 제외)
결과 요약

- 총 투자금: 6,100,000원
- 2025년 4월 기준 평가금액: 약 12,991,302원
- 총 수익: 약 6,891,303원
- 수익률: +112.97%
복리의 힘, 그리고 ‘꾸준함’의 가치 2배 이상의 수익률은 단기간에 나온 것이 아닙니다. 넷플릭스 주가는 팬데믹 수혜와 콘텐츠 투자 확대, 그리고 여러 차례의 조정기를 겪으며 출렁였지만, 꾸준히 매수한 투자자에게는 오히려 ‘저가 매수 기회’가 되어주었죠.
적립식 투자의 가장 큰 장점은 ‘시장 타이밍’을 맞추지 않아도 된다는 점입니다. 오히려 출렁일수록 평균 단가를 낮출 수 있는 기회가 된다는 것, 이 그래프가 말해주고 있어요.
결론
‘구독자’가 아닌 ‘주주’였다면? 2020년, 2021년 넷플릭스를 시청한 시간이 몇 백 시간이라면, 그 시간만큼의 금액을 투자했다면 지금쯤 꽤 쏠쏠한 자산이 되었을지도 몰라요.
이제는 콘텐츠를 소비만 하지 말고, 콘텐츠를 만드는 기업의 가치에 ‘주주로서‘ 동참해봐야 겠네요. 늦지 않았겠죠? : )
이런 글은 어때요?
- 버크셔해서웨이 B주, 매달 10만 원씩 투자했더라면 지금쯤 얼마일까?
- 버크셔해서웨이 주식, A와 B의 차이 쉽게 알아보기!
- 버크셔해서웨이 포트폴리오 완전 분석: 2025년 주요 보유 종목